본문 바로가기

집행유에란2

집행유예란, 당신이 알아야 할 집행유예 (2) 어제 포스팅에 이어 집행유예란 주제로 이어가겠습니다. 집행유예를 받으셔서 좋아하시는 경우가 있는데 보호관찰관의 준수사항, 사회봉사명령, 수강명령을 이행을 거부하거나 게을리하여 심각한 상황에 직면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선 구체적으로 어떤 경우에 집행유예가 실효 또는 취소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집행유예 실효 [형법] 제63조(집행유예의 실효) 집행유예의 선고를 받은 자가 유예기간 중 고의로 범한 죄로 금고 이상의 실형을 선고받아 그 판결이 확정된 때에는 집행유예의 선고는 효력을 잃는다 집행유예실효란 집행유예 선고를 받은 사람이 유예 기간 중에 고의로 범한 죄로 금고 이상의 실형을 선고를 받아서 그 판결이 그 유예 기간 중에 확정될 때, 집행유예 선고의 효력이 상실하는 것을 말합니다.. 2023. 3. 28.
집행유예란, 당신이 알아야 할 집행유예 (1) 매스컴을 통해 범죄자가 집행유예를 받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구속은 유죄고 집행유예는 무죄이다”하고 알고 계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집행유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집행유예란 예를 들어서, 범죄를 저지른 사람이 징역 1년을 선고받았습니다. 그러면, 바로 교도소에 수감이 되어 징역형을 살아야 하죠. 그런데, 법원은 그 사람을 교도소로 보내지 않고 집으로 돌려보냅니다. 그리고, 일정기간 동안 지켜봅니다. 법을 잘 지키고 있는지, 죄는 저지르지 않는지를 보는 거죠. 그러다가, 아무탈 없이 그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법원은 선고 자체의 효력을 없애버리죠. 집행유예는 징역형 뿐만 아니라 벌금형에도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서, 벌금 300만원에 집행유예 1년이 선고되었.. 2023. 3. 27.